2023. 7. 3. 21:11ㆍHawkis_CTF
CTF 문제
첨부된 recovery.vhd파일을 다운로드
더블클릭시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"열기" 클릭
경고창이 뜬다
확인을 누르고 내PC를 확인해보니 로컬 디스크(E:)가 생겨났다
로컬 디스크 (E:) 클릭시 포맷하라는 창이 뜬다
포맷을 진행해주고
다시 로컬 디스크 (E:) 진입 시, 비어있는 디스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.
하지만 디스크의 46.9MB가 사용중인것으로 보아 파일이 있지만 손상된것으로 보인다.
VHD파일은??
: .vhd, .vhdx 확장자를 가진 "가상 하드 디스크 이미지 파일"
- "파일의 속성“과 "디스크 속성"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
VHD파일은?? "파일의 속성"을 가지고 있기에
- 일반 파일처럼.. VHD파일생성, 복사, 이동, 삭제가 가능
VHD파일은?? "디스크의 속성"을 가지고 있기에
- 용량 지정, 파티션형식(MBR,GPT)지정 및 파티션분할, 문자열 할당이 가능
- VHD파일내에 여러 파일을 복사, 이동, 삭제가 가능
- 그리고, 윈도우 등 OS설치 및 부팅이 가능
즉, 가상의 디스크를 추가할 수 있는 파일이다.
Flag 발견 - (방법 1)
FTK Imager 로 파일 오픈시
unallocationed space 라는 폴더에
즉, 할당되지 않은 공간 폴더에 두개의 파일이 있는것을 알 수 있었다
파일을 클릭하였을때 아무 확인 불가하였다
그래서 일단 NTFS에대해 찾아보았고 다음 정보를 알게 되었다
- VBR은 Volume Boot Record이며, 파일시스템의 가장 처음에 위치하고 있다.
- VBR은 파일시스템의 크기가 몇인지, 몇번부터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.
- VBR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에 VBR을 복사본을 만들어 둘 필요가 있다.
- FAT32 파일 시스템의 경우 6번섹터 exFAT 파일 시스템의 경우 12번 섹터 NTFS 파일 시스템의 파티션의 마지막 섹터에 복사본을 만들어 놓는다
- 즉,VBR이 위치해야 할 0번 섹터에 문제가 있다면, 복사본을 복사하여 덮어써 복구가 가능한 것입니다.
이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Hx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
Flag 발견 - (방법 2)
비어있는 디스크지만
이는, 데이터에 손상이 가서 비어있는것이며
사라진 파일을 복구하여 Flag 값을 찾아내는 문제라고 판단하였다
손상된 파일을 복구시켜주는 포렌식 Tool인
Tenorshare 4DDiG 를 사용하여
디스크를 스캔하니
E: 로컬디스크에 이름 분실된 파일이 있다는것을 알아냄
이름 분실된 파일 폴더를 들어가 봄
ico와 png 폴더가 존재하였고
Flag 값이 png 사진에 있을 것이라 예상하여
Png 폴더 들어감
아니나다를까 png파일을 열어보니 아래와같이 Flag 값이 나왔다.
'Hawkis_CT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bysheets 문제 (0) | 2023.07.05 |
---|---|
Babyforms 문제 (0) | 2023.07.04 |
하위 문제 (0) | 2023.07.04 |
과유불급 (Hawkis_CTF) write-up (0) | 2023.05.29 |
Hacker Wannabe (Hawkis_CTF) write-up (0) | 2023.05.21 |